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공대 웹진

서울공대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공대상상 웹진

공대상상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공지사항

공대뉴스

서울공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플랫폼 ‘공인(工人)’ 개소식 개최

서울공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플랫폼 ‘공인(工人)’ 개소식 개최

서울공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플랫폼 ‘공인(工人)’ 개소식 개최 - 전담 카운슬러 맞춤형 상담 및 학내외 지원 프로그램 연계해 제공 - 학생 생활 데이터 수집·분석해 효과적 지원정책 수립 예정 ▲ (가장 왼쪽)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이정웅 학생회장, (왼쪽에서 두 번째) 현송교육문화재단 오성철 사무국장, (왼쪽에서 세 번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오른쪽에서 세 번째)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지난 6월 10일 관악캠퍼스 300동에서 공학인재역량센터 ‘공인(工人)’의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송교육문화재단의 기금으로 설립된 ‘공인’은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 창구로서 전담 카운슬러를 통한 맞춤형 상담과 학내외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합·연계해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 이날 행사에는 서울대 유홍림 총장, 서울대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현송교육문화재단 오성철 사무국장, 서울대 공과대학 이정웅 학생회장 등 교내외 주요 인사를 비롯해 서울공대 재학생 약 30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축사에 나선 유홍림 총장은 “서울대는 학생들이 소통·협업·창의적 문제 해결력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그간 기숙대학 프로그램 활성화, SNU Commons 조성 등 다양한 제도와 공간을 만들어왔다. 오늘 문을 여는 ‘공인’은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 ‘공인’이 학생 개개인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디딤돌이 되어 서울대는 물론, 우리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길 바란다”고 축하를 전했다. 김영오 공과대학장은 “학생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을 길러줄 비교과 프로그램을 충분히 제공하고, 학생들은 이러한 기회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공인’의 성공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한다”고 밝혔다.이정웅 공과대학 학생회장은 “‘공인’의 개소는 단순히 시설 하나가 새로 생겼다는 걸 넘어, 서울공대가 이제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에 본격적으로 주목하겠다는 선언”이라며 “앞으로 학생들이 방황하지 않고 삶과 진로를 주도적으로 설계하도록 ‘공인’이 이정표가 돼주길 기대하며, 저 또한 학생 대표로서 그 비전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향후 ‘공인’은 세 가지 중추적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성장하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한층 더 넓힐 예정이다.우선, 원스톱 학생지원 서비스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수요에 따라 적합한 학내외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맞춤형으로 추천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에 이뤄졌던 학과(부) 단위 학생 관리의 한계를 넘어, 전문 카운슬러가 전공·진로·연구 등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상담과 안내를 제공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 기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해 보다 정교하고 실효성 있는 학생 지원 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대학교 공학인재역량센터 ‘공인(工人)’ 개소식 기념사진[문의]서울대학교 학생행정실 이영민 팀장 / 02-880-7010 / ymllee@snu.ac.kr

2025.06.13

서울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팀, 낸드 플래시 기반 ‘은닉형 PUF’ 기술 세계 최초 개발

서울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팀, 낸드 플래시 기반 ‘은닉형 PUF’ 기술 세계 최초 개발

메모리에 저장된 보안키를 숨긴다....서울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팀, 낸드 플래시 기반 ‘은닉형 PUF’ 기술 세계 최초 개발 - 보안성·공간 효율성 모두 갖춘 차세대 하드웨어 보안 솔루션 제시 - 스마트폰·차량·IoT 등 전자기기 보안에 활용 기대 - 최고 권위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왼쪽), 박성호 연구원(오른쪽)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팀이 기존의 상용 3차원 낸드 플래시 메모리(V-NAND flash memory)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하드웨어 보안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은닉 가능한 물리적 복제 방지 기능(Concealable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이하 Concealable PUF)’으로 명명된 이 기술은 기존의 ‘물리적 복제 방지 기술(PUF)’이 지닌 복제 불가능성과 무작위성의 강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필요할 때만 꺼내 쓸 수 있도록 보안키를 은닉할 수 있는 기능까지 V-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구현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번 연구성과는 지난 6월 3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 연구 배경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발전으로 데이터 활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데이터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했다. 따라서 이전의 비밀번호 방식보다 더욱 강력한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데, 최근 주목받기 시작한 기술이 바로 PUF다.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자연스럽게 생기는 미세한 물리적 차이를 기반으로 고유한 값을 생성하는 PUF는 복제나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강점을 갖는다. 하지만 기존의 PUF는 주로 실험실 수준의 소자에서만 적용돼 양산이 어려웠고, 보안키를 안전하게 감추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 연구 성과이러한 제약을 뛰어넘는 PUF의 개발에 나선 연구팀은 V-NAND 플래시 메모리의 지우기 동작 방식인 GIDL(Gate-Induced Drain Leakage)을 약하게 적용해 각 메모리 셀 사이의 지우기 정도의 차이를 의도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PUF 데이터를 생성하는 Concealable PUF 기술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회로와 구조를 따로 변경하지 않고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인 V-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PUF 기능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보안키를 사용할 때만 노출시키고, 평소에는 사용자 데이터로 덮어둘 수 있는 방식은 보안성과 공간 효율성 모두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보안키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해당 메모리 공간을 일반 데이터 저장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저장 공간의 낭비 없이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 연구진은 실제 상용 V-NAND 플래시 메모리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생성한 PUF 데이터가 섭씨 25도에서 85도에 이르는 온도 변화, 1천만 회 이상의 반복 읽기 동작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100%의 정확도와 무작위성을 유지함을 확인했다. 또한 보안키를 사용자 데이터로 덮어씌운 후 다시 복원하는 ‘은닉-복원’ 동작을 100회 이상 반복한 실험에서도 오류 없이 원래의 키가 정확히 복원돼, 기술의 안정성을 입증했다. 아울러 머신러닝 기반 공격을 가정한 모의실험에서도, PUF 데이터를 통한 키 예측 정확도가 무작위 추정 수준에 그쳐, Concealable PUF의 높은 보안성 역시 확인됐다.■ 기대 효과 기존 상용 메모리 소자를 그대로 활용해 보안키의 생성·저장·은닉이 모두 가능한 고신뢰성 시스템을 구현한 이번 연구성과는 향후 스마트폰·차량·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 등 보안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연구팀은 다양한 하드웨어 보안 솔루션에까지 은닉형 PUF 기술의 응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연구진 의견연구를 이끈 이종호 교수는 “Concealable PUF는 현재 양산 중인 수직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창의성과 실용성이 돋보이는 기술이며, 향후 정보보안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논문의 주저자인 박성호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회로나 설계의 변경 없이 기존 V-NAND 플래시 메모리의 지우기 동작을 활용해 PUF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면서 “특히 필요할 때만 보안키가 노출되도록 설계한 은닉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보안성과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PUF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 진로박성호 연구원은 현재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에서 석박사통합과정을 밟고 있다. V-NAND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 개선 외에도 뉴로모픽 컴퓨팅, 데이터 보안 등 다양한 응용 분야의 연구를 진행 중이다.  ▲ 그림 1. GIDL erase를 활용한 V-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은닉 가능한 PUF. (a) V-NAND 플래시 메모리를 활용한 은닉 가능한 PUF의 모식도. (b) V-NAND 플래시 메모리의 회로도와  (c) GIDL erase 방법.▲ 그림 2. GIDL erase를 이용한 PUF 키 생성과 V-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PUF의 동작 방법. (a) 약한 GIDL erase 이후 V-NAND 플래시 셀의 Vth 분포. (b) NAND 플래시 기반의 기존PUF와 제안한 방식의 비교. (c) V-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PUF의 동작 방식. (d) 생성된 PUF 키의 자기상관 테스트 결과.[참고자료]- 논문명/저널 : “Concealable physical unclonable functions using vertical NAND flash memory”, Nature Communications- DOI : https://doi.org/10.1038/s41467-025-60415-y[문의]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 연구실 박성호 연구원 / thomasung@snu.ac.kr

2025.06.11

서울공대,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12기 입학식 성료

서울공대,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12기 입학식 성료

서울공대,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12기 입학식 성료 軍·學·民 교류 활성화로 글로벌 국방 기술혁신 전문가 및 軍 지도자 양성 ▲ 서울대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12기 입학식 기념사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지난 6월 5일 3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 무궁화회관에서 항공우주공학과 박찬국 주임교수 주관 하에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제12기 입학식이 성황리에 열렸다고 밝혔다.박기완 공군 참모차장을 비롯한 군 장성 27명, 민간 기업 CEO 23명 등 총 57명의 입학생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진 이날 행사에는 총원우회 유진현 회장(4기)과 박찬국 주임교수 등 운영진이 모두 자리에 함께해 입학을 축하했다.이날 입학식 1부는 국민의례에 이어 서울공대 김영오 학장의 영상 환영사, 자문위원장 축사, 운영진 소개 및 만찬 순으로 진행됐으며, 2부에서는 입학생 소개와 과정 운영 전반에 대한 소개 교육이 이뤄졌다. 서울공대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은 지난 2013년 서울대학교와 국방부가 군·학·민(軍·學·民) 교류 활성화를 통해 미래를 이끌 국방 기술혁신 전문가와 군 지도자를 양성하고자 개설한 프로그램이다. 불확실한 국제 경제 및 정치 현실에서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연 1회 운영되는 해당 과정이 배출한 11개 기수의 수료생 567명은 각 군에서 주요 직책을 맡은 장성 또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임원급 이상 중견 간부이며, 현재 각계각층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문의]서울대학교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박찬국 주임교수 / 02-880-1675 / chanpark@snu.ac.kr

2025.06.10

서울대학교공과대학 학과/학부를 소개합니다.

건설환경공학부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자세히 보기

건설환경공학부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자세히 보기
USER
SERVICE